2025년 6월, 한국의 15세 이상 고용률은 63.6%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하여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5~64세 고용률도 70.3%로 0.4%포인트 상승하며 역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와 같은 고용률 상승은 주로 30대, 40대, 60세 이상 연령대에서 두드러졌다. 반면, 청년층과 50대의 고용률은 각각 1.0%포인트, 0.2%포인트 하락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5.4%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증가했으며, 실업률은 2.8%로 0.1%포인트 하락하여 6월 기준으로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8.3만 명 증가하며 6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이어갔다. 그러나 청년층의 취업자 수는 17.3만 명 감소하며 여전히 고용난을 겪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서비스업은 49.5만 명 증가하며 견조한 증가세를 보였으나, 제조업과 농림어업은 각각 8.3만 명, 14.1만 명 감소하여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내수 부진과 대외 리스크 요인으로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고용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내수 활성화와 첨단산업 육성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민간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AI 등 차세대 첨단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육성을 통해 중장기적 고용 창출 역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전망으로는 청년층 고용난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할지 주목된다. 특히 첨단산업 분야의 일자리 사업 확대가 청년층 고용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2025년 6월 고용지표 개선, 청년층 고용난 여전
AI Brief 기자
|
2025.07.16
|
조회 24
15세 이상 고용률과 경제활동참가율 역대 최고치 기록
AI Brief 기자 | theaipen.officia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