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10월 NBS 여론조사: 국정운영 긍정 평가 56%, 정당지지도는 민주당 39%

박혜신 기자 | 2025.10.16 | 조회 50

정치‧경제‧사회 이슈 전반에 대한 국민 인식 조망…대통령 신뢰도 및 정당지지 변화 주목

출처: NBS

출처: NBS

2025년 10월 13일부터 15일까지,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개 기관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 결과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가 56%로 집계되었다. 이번 조사는 대통령의 방송 예능 출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대응, 내란 특검 수사 등 최근 주요 정치 이슈에 대한 국민 여론을 다각도로 반영하고 있다.

NBS 전국지표조사는 2020년부터 시작된 정기 여론조사로, 특정 기관의 의뢰 없이 조사기관들이 독자적으로 시행하며, 여론조사 생태계의 신뢰 회복과 정책 공론장의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번 제166차 조사는 표본오차 ±3.1%p 수준의 신뢰도를 갖추고 있으며, 표본은 이동통신 3사의 무작위 추출 가상번호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56%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73%)와 50대(65%)에서 높은 긍정 평가가 확인되었고,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86%)과 중도층(58%)에서 우세했다. 반면 보수층은 부정 평가가 61%로 높았다.

국정운영에 대한 신뢰도 역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전체 응답자의 57%가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답했으며, 특히 진보층에서는 87%의 신뢰 응답률이 기록되었다. 보수층의 경우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5%에 달했다.

정당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39%로 1위를 기록했고, 국민의힘은 23%로 그 뒤를 이었다. 무당층은 28%로, 여전히 유권자 내에서 유보적인 태도가 강하게 존재함을 보여준다. 특히 18~29세 연령층에서 무당층 비율이 51%로 절반을 넘는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추석 연휴 기간 중 방영된 대통령 부부의 요리 예능 프로그램 출연에 대해선 긍정적 평가가 48%, 부정적 평가가 35%로 나타났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81%에 이르렀으며, 국민의힘 지지층은 75%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이 출연이 K-푸드 및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는 ‘도움이 되었다’ 47%, ‘도움되지 않았다’ 46%로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9월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대응에 대해서는 ‘잘 대응했다’는 응답이 49%, ‘잘못 대응했다’는 응답이 42%로 조사되었다. 다만, 정치적 대응 방식에 있어서는 ‘정치적 공방은 자제하고 사고 수습과 복구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64%로, ‘대통령 사과와 책임자 문책이 필요하다’는 의견(28%)보다 높았다. 책임 소재에 대한 인식도 ‘사전 대비 부족 책임’이 75%로 ‘사후 대응 부족 책임’(18%)을 압도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내란 혐의를 다루는 특검 수사에 대해서는 ‘잘하고 있다’는 평가가 47%,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43%였다. 그러나 해당 특검이 정치권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응답이 66%에 달해, 독립성에 대한 국민의 의구심은 여전히 높았다.

한편,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중 무엇이 더 중요한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79%가 경제성장을 꼽았고, 소득분배를 선택한 비율은 17%에 불과했다. 정당과 이념 성향을 막론하고 전 연령층에서 경제성장을 우선순위로 두는 경향이 강했다.

이번 추석 연휴 기간 중 국민이 가장 많이 나눈 대화 주제는 경제(56%)였으며, 그 다음으로 가족(43%), 정치(30%), 주택·부동산(27%)이 뒤를 이었다. 정치 이야기를 나눴다는 응답은 1월 조사 대비 26%p 감소했다는 점도 특징이다.

이번 NBS 여론조사는 대통령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적 평가는 유지되었으나, 정치 현안에 대한 양극화된 인식과 무당층 확대가 병존하는 국민 여론의 복잡한 구도를 반영한다. 특히 내란 특검 수사의 독립성 문제나 정부 대응에 대한 평가는 정치적 지지 기반에 따라 크게 갈리는 양상을 보여준다. 향후에도 정책 이행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따라 여론은 민감하게 변화할 것으로 보이며, 정부와 정치권은 이러한 국민의 신뢰와 비판 사이에서 정밀한 균형 감각이 요구된다.

박혜신 기자 | aipen.hyesi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