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1월 2일,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강원도의 습기가 많은 울창한 산간 지역에서 신종 습지플라나리아류 21종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추진된 습지플라나리아류에 대한 조사로, 이 생물들이 환경 지표종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습지플라나리아류는 서식지의 습도와 온도 변화에 민감한 생물로 알려져 있으며, 해외에서는 열대우림의 보존을 위해 이들을 환경 지표생물로 연구해왔다. 현재까지 전 세계에 약 900여 종이 기록되어 있으나, 국내에선 공식적으로 기록된 종이 없던 상황이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2020년부터 강원도 태백 및 영월, 경북 문경 등에서 이들의 종다양성을 조사하여 신종 21종을 확보한 뒤,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와 협력해 형태 및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 도기용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다양성보전연구실장은 “우리나라는 산간 지역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습지플라나리아류가 조사되지 않은 지역이 많은 상황”이라며, 앞으로 미조사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들을 발굴하고 환경지표생물로서의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동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주올로지아(Zoologia)에 게재하였으며, 올해 상반기 내에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할 예정이다. 국내 습지플라나리아류의 발견은 향후 환경 보존 및 생태계 관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부, 신종 습지플라나리아류 21종 발견… 환경 지표종으로 활용 기대
AI Brief 기자
|
2025.01.03
|
조회 9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강원도 산간 지역에서 국내 최초로 신종 발견 및 연구 성과 발표
AI Brief 기자 | theaipen.officia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