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오는 7월 15일부터 ‘공항만 여행자 호흡기 감염병 검사 서비스 시범사업’과 ‘Q-CODE 기반 전자검역 시범사업’을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입국자들이 자발적으로 증상을 신고하고 필요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김포, 제주, 김해공항에서 운영되던 시범사업은 대구, 청주공항과 부산, 인천항만으로 확대된다.
공항만 여행자 호흡기 감염병 검사 서비스는 입국자가 검역 단계에서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을 신고하면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신속한 검사와 결과 통보는 입국자의 휴대폰이나 이메일로 진행되며, 양성일 경우 검역소에서 양성확인서를 발급받아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올해 2월부터 6월까지 김포, 제주, 김해공항에서 시범 운영된 결과, 총 184명의 유증상자 중 30명이 검사를 요청했고, 그 중 7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또한, Q-CODE 기반 전자검역 시범사업은 건강상태질문서를 사전 발급받은 QR코드로 대체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검역 조사를 가능하게 한다. 2024년 9월 김해공항을 시작으로 2025년 2월 대구, 청주공항으로 확대된 이 사업은 김포, 제주공항을 추가하여 총 5개 공항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2024년 8월, 26.0%였던 Q-CODE 이용률은 시범사업을 통해 92.6%로 크게 증가했다.
이번 시범사업의 확대 시행은 입국자의 자발적 신고와 검사를 통한 감염병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지속적인 신규 서비스 도입을 통해 국립검역소의 여행자 중심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전했다. 이러한 조치는 향후 감염병 감시 및 동향 분석, 방역정책 수립의 과학적 근거 제공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질병관리청, 공항만 감염병 검사 및 전자검역 시범사업 확대 시행
AI Brief 기자
|
2025.07.11
|
조회 15
7월 15일부터 감염병 검사 서비스와 Q-CODE 기반 전자검역 사업 확대
AI Brief 기자 | theaipen.officia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