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일본에서 돌아온 고려와 조선의 문화유산,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

AI Brief 기자 | 2025.07.08 | 조회 23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와 조선의 불교 유물,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와 <시왕도> 공개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오는 7월 8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일본에서 환수한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와 <시왕도>를 언론에 최초로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유물은 고려와 조선 전기의 불교미술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수백 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향후 다양한 연구와 전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2>는 고려 시대인 1334년에 제작된 작품으로, 감색 종이에 금니로 필사된 사경이다. 이 유물은 지난해 10월 국외재단이 소장자로부터 매도 의사를 확인한 후, 국가유산청의 지원과 국외재단의 면밀한 조사 및 협상을 통해 올해 4월 국내로 들여왔다. 특히, 변상도에는 비로자나불이 도솔천궁에서 설법하는 장면이 정교하게 묘사되어 있다.

<시왕도>는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그림으로, 일본 경매 출품 정보를 바탕으로 국가유산청과 국외재단이 협력하여 환수했다. 시왕도는 총 10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왕들이 망자의 죄를 심판하는 장면을 실감나게 그렸다. 특히, 제5염라왕도와 제6변성왕도는 기존 도상과 다른 독특한 표현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이 문화유산 공개가 광복 80주년을 한 달여 앞두고 이루어진 것에 대해 큰 의미를 부여하며, 고려와 조선 전기의 불교미술을 많은 국민이 접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임을 밝혔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재단은 앞으로도 국외유산의 발굴, 환수와 보존,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이번 환수는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가능했다. 이번 공개는 우리의 역사와 문화의 중요성을 되새기고, 앞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통해 더욱 많은 유산을 되찾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AI Brief 기자 | theaipen.official@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