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이재명 대통령 긍정 평가 53%…민주당 지지도 45.4%로 6주 연속 우세

박혜신 기자 | 2025.11.03 | 조회 17

정당 지지도 격차 7.5%p로 벌어져…광주·전라·제주, 40대·50대서 지지율 압도

출처: 리얼미터

출처: 리얼미터

2025년 10월 27일부터 31일까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실시한 주간 정례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53.0%로 나타났다. 같은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은 45.4%, 국민의힘은 37.9%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양당 간 격차는 7.5%p로 확대됐다.

이번 조사는 전국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는 2,517명, 정당 지지도 조사는 1,004명이 응답했다. 표본오차는 각각 ±2.0%p, ±3.1%p(95% 신뢰수준)이며, 응답률은 국정수행 평가 5.1%, 정당 지지도 4.1%였다. 표본은 성별·연령대·권역별 인구통계에 따라 비례할당되었으며, 2025년 7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를 기준으로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평가는 '매우 잘함' 42.7%, '잘하는 편' 10.2%로 긍정 응답이 53.0%에 달했다. 반면, '잘못하는 편' 9.0%, '매우 잘못함' 34.3%로 부정 응답은 43.3%였다.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 간 차이는 9.7%p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65.7%)와 50대(64.9%)에서 긍정 평가는 60%를 넘겼다. 반면, 18~29세는 긍정 36.3%, 부정 54.6%로 평가가 엇갈렸다. 70세 이상은 긍정 42.0%, 부정 51.9%로 부정 평가가 우세했다. 성별로는 여성(긍정 56.9%)이 남성(49.0%)보다 더 높은 지지를 보였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78.8%가 대통령을 긍정 평가한 반면, 보수층에서는 28.2%만이 긍정 평가했고, 68.4%는 부정 평가했다. 중도층에서는 긍정 54.7%, 부정 42.5%로 긍정적 평가가 앞섰다. 직업군 중에서는 가정주부(59.5%)와 자영업자(54.3%)의 긍정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5.4%로 1위를 기록했다. 국민의힘은 37.9%로 두 정당 간 격차는 7.5%p였다. 무당층은 8.8%였으며, 기타 정당은 조국혁신당(1.8%), 진보당(1.3%), 개혁신당(2.8%)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에서 더불어민주당이 66.8%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고, 제주에서도 51.2%로 과반을 넘겼다. 인천·경기(48.4%), 대전·세종·충청(49.4%) 등 수도권 및 중부권에서도 우세한 지지율을 나타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강원(54.4%), 부산·울산·경남(52.1%)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연령대별 정당 지지도는 40대에서 더불어민주당이 65.5%로 강세를 보였고, 50대(55.6%)와 60대(45.7%)에서도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 20대(18~29세)는 국민의힘이 49.3%로 민주당(30.3%)보다 앞섰고, 30대도 국민의힘(46.7%)이 민주당(33.7%)을 앞질렀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의 75.1%가 민주당을 지지했고, 보수층의 71.6%는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중도층에서는 민주당 45.1%, 국민의힘 33.3%로 민주당이 우위를 점했다. 직업군 중에서는 자영업자(51.3%), 사무·전문직(50.3%), 가정주부(49.6%)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당 지지도는 최근 6주간 꾸준히 민주당 우세 흐름이 이어졌다. 10월 1주차부터 5주차까지 민주당은 47.2%→46.5%→44.1%→45.4%로, 40%대 중후반에서 안정적인 지지율을 유지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같은 기간 35.9%→36.7%→37.3%→37.9%로 등락을 반복하며 민주당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 인식이 50%대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지지 기반을 확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민주당이 전국 및 수도권, 중부권, 여성, 중도층에서 우세한 흐름을 보이며, 당분간 여당으로서의 정치적 주도권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국민의힘은 일부 지역과 연령대에서 강세를 보였지만, 전국 단위에서는 민주당과의 격차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정기국회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이러한 여론의 흐름이 어떤 방식으로 정책이나 공약 구도에 반영될지 주목된다.

박혜신 기자 | aipen.hyesi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