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2025년 8월 7일 열린 제7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에서 대치쌍용1차 아파트 재건축, 마천4구역 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 홍제3구역 재건축, 흑석9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 등 4개 안건을 조건부로 의결했다. 이번 심의를 통해 강남, 송파, 서대문, 동작 등 서울 주요 권역에서 총 4,413세대 규모의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며, 공원·수변공간·육아친화시설 등 공공성을 강화한 설계가 특징이다.
서울시는 정비사업 절차 간소화와 사업성·공공성 균형 확보를 목표로 2021년부터 정비사업 통합심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제7차 회의에서는 4건 모두 조건부 의결 형태로 통과됐으며, 이는 일부 설계 보완과 세부 계획 조정을 전제로 사업 추진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첫 번째 안건인 대치쌍용1차 아파트 재건축사업은 강남구 대치동 66번지 일대 1983년 준공된 630세대 노후 단지를 최고 49층, 999세대(공공임대 132세대 포함) 규모로 재탄생시키는 계획이다. 양재천과 연계한 녹지 네트워크와 오픈스페이스, 소규모 공원 조성으로 수변친화형 주거환경을 제공하며, 영동대로변에는 서울형 키즈카페·다함께 돌봄센터·어린이집 등 육아친화시설과 연도형 상가, 어울림 마당이 들어선다. 통합심의위는 공원 접근성 강화와 단차 완화 등 설계 수정을 요청했다.
두 번째 안건인 마천4구역 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은 송파구 마천동 323번지 일대에 지하 4층~지상 33층, 10개 동, 총 1,254세대(임대 286세대 포함)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남한산성 자연환경을 모티브로 한 외관 디자인 ‘URBAN CLOUD’를 적용해 지역 경관과 조화를 도모하며, 파노라마뷰·세대분리형·복층형 펜트하우스 등 특화 평면이 도입된다. 인접한 위례선 트램과 지하철 5호선 마천역을 활용해 교통 편의성을 높이고, 북위례 상업지 및 녹지벨트와 연계해 생활 편의와 쾌적성을 확보한다. 심의위는 시각통로 확보로 개방감을 유지할 것을 주문했다.
세 번째 안건인 홍제3구역 재건축사업은 서대문구 홍제동 104-41번지 일대에 지하철 3호선 무악재역 인근에 620세대(공공임대 55세대 포함)를 공급하는 계획이다. 인왕산 방향 통경축을 중심으로 보행통로와 녹지를 배치해 주민 쉼터를 만들고, 무악재역 인근에는 서울형 키즈카페, 어린이집, 경로당, 돌봄센터 등을 설치한다.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인증을 추진해 친환경 단지로 조성하며, 회전교차로 선형 조정과 중앙가든의 공공 보행통로 계획이 추가 조건으로 제시됐다.
마지막 안건인 흑석9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사업은 동작구 흑석동 90번지 일대에 20개 동, 지하 7층~지상 25층, 총 1,540세대(분양 1,278세대, 공공 262세대)를 조성한다. 한강 전망이 가능한 커뮤니티시설과 전망대, 라운지 등을 신설하고, 어린이집을 기존 2개소에서 1개소로 통합·확대하여 교육환경을 개선한다. 양 동을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설치해 재난 시 신속한 대피와 단지 내외부 연계를 가능하게 하며,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 조건으로 부여됐다.
이번 조건부 의결은 네 사업 모두 ▲경관·조망권 확보 ▲공공공간 활용성 제고 ▲육아·돌봄 인프라 확충 ▲환경·에너지 성능 향상 등을 핵심 보완사항으로 설정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특히, 대규모 주택 공급이 단순한 양적 확장에 그치지 않고, 공공성과 생활환경 개선을 병행하는 방향으로 정비사업이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조건부 의결은 향후 인허가 과정에서 설계 변경·비용 증가 등 변수를 수반할 수 있어, 사업 속도와 시행사의 대응력이 공급 시기와 품질을 좌우할 전망이다. 또한 각 구역이 안고 있는 지역 특성-예를 들어 대치동의 학군·상권, 마천동의 교통망, 홍제동의 친환경 요구, 흑석동의 한강 조망권-이 사업 추진 과정에서 이해관계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서울시의 이번 제7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 결정으로 총 4,413세대 규모의 신규 주택이 공급 궤도에 올랐다. 이는 서울시가 주택공급 확대와 동시에 주거환경·공공성·경관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통합심의 방식을 통해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질적 수준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향후 각 사업은 조건부 보완사항을 반영해 사업시행계획 인가, 관리처분계획 인가, 착공 절차를 밟게 된다. 서울시는 사업 추진 과정에서 공공성 확보 여부를 지속 점검하며, 특히 공원·녹지·돌봄시설·커뮤니티공간의 계획 이행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정비사업이 주거 안정과 도시 경쟁력 강화라는 이중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행정 지원과 사업자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다. 네 구역의 사례는 향후 다른 재개발·재건축 지역에도 준거가 될 수 있으며, 조건부 의결이라는 장치를 통해 사업 품질을 담보하는 동시에, 공급 속도를 유지하려는 서울시의 정책 방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 제7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대치·마천·홍제·흑석 등 4개 구역 조건부 의결
육태훈 기자
|
2025.08.08
|
조회 5
주거환경 개선·공공성 강화·경관 조화 중점…총 4,413세대 신규 공급 청신호
육태훈 기자 | thhj0153@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