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기사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게재된 결과분석 자료 등을 기준으로 작성됩니다.
한국갤럽조사연구소는 2025년 5월 2~3일 전국 성인 유권자 1,526명을 대상으로 제21대 대통령선거 관련 유권자의식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의뢰로 실시되었으며, 전국 17개 시·도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유권자를 대상으로 무선 90%, 유선 10%의 비율로 컴퓨터전화면접 방식(CATI)으로 진행되었다. 응답률은 17% 수준으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다. 이번 조사는 유권자의 선거 참여 의향, 후보자 선택 기준, 사전투표 의지, 선거 효능감 인식,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 등을 전반적으로 포괄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대선에 대한 유권자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의향이다. 전체 응답자의 91.9%가 선거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투표 참여 의향도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86.0%에 달했다. 특히 60대 이상 고연령층의 투표 의지는 89%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젊은 층에서도 ‘가능하면 투표하겠다’는 응답까지 포함하면 97%에 가까운 참여 의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투표 의향과 실제 참여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투표할 생각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 중 가장 큰 이유는 ‘마음에 드는 후보나 정당이 없어서’가 43.3%로 가장 높았고, 그 뒤를 ‘투표해도 바뀌는 것이 없어서(25.1%)’, ‘정치에 관심이 없어서(15.3%)’가 이었다. 이는 정치 전반에 대한 냉소와 무력감이 여전히 유권자 일부에 존재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전투표에 대한 수용성도 주목할 만하다. 응답자의 38.6%가 사전투표일(5월 29~30일)을 선택하겠다고 응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편리해서’가 38.6%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선거일에 다른 용무가 있어서’가 25.0%, ‘선거일 근무 등으로 불가피하게’가 14.7%로 나타났다. 이는 사전투표 제도가 일정 부분 유권자들의 생활 패턴에 맞춰 정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후보자 선택 기준에 대해서는 ‘능력/경력’이 31.8%로 1위를 차지했지만, 뒤이어 ‘정책/공약(27.3%)’, ‘도덕성(22.9%)’, ‘소속 정당(12.9%)’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18~29세 응답자의 경우 ‘정책/공약(38.7%)’ 비중이 가장 높았다는 점은 유권자의 세대별 관심사가 다름을 보여준다. 70세 이상 고령층은 ‘도덕성(34.9%)’을 가장 중요시했고, 40~50대에서는 ‘능력/경력’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정치 효능감 측면에서도 긍정적 인식이 다수를 차지했다. ‘선거를 통해 국가 전체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주장에 84.9%가 동의했으며, ‘내 한 표가 선거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에도 84.8%가 긍정 응답을 보였다. 그러나 ‘선거를 통해 나의 일상생활과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는 항목에 동의한 비율은 73.1%로 다소 낮아, 정치가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일정한 한계 인식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한편, 유권자 정보 획득 경로로는 ‘TV 대담·토론회 및 방송연설(36.9%)’이 가장 높았고, ‘유튜브 등 영상 플랫폼(19.6%)’, ‘언론 보도(18.8%)’, ‘포털 등 인터넷(13.9%)’ 순이었다. 이는 기존 미디어에 대한 신뢰와 함께 온라인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특히 18~29세의 경우 유튜브와 포털 이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세대 간 미디어 소비 격차도 드러났다.
선거제도 인지도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가 확인됐다. 딥페이크 선거 영상의 규제 여부를 ‘알고 있었다’는 응답은 56.0%, 선거범죄 신고 포상금 및 금품수수 과태료 제도에 대해 ‘알고 있었다’는 응답도 55.9%로 절반을 웃돌았다. 이는 선관위와 언론의 정보 전달 기능이 일정 부분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지만, 나머지 절반가량은 여전히 정보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음을 방증한다.
마지막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역할에 대한 평가에서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31.3%, ‘보통’이라는 응답은 32.6%, ‘잘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0.8%로 팽팽히 맞섰다. 세부 활동별로 보면 ‘유권자의 투표 참여 독려’와 ‘투표·개표 사무의 공정한 관리’에 대해서는 비교적 긍정 평가가 높았으나, ‘선거사범에 대한 조사·조치’나 ‘위법한 여론조사 조치’ 등 제재 기능에 대한 평가는 부정적 응답이 다소 우세했다.
이번 조사는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이 보여주는 높은 관심과 참여 의지를 재확인한 한편, 정치 전반에 대한 불신과 회의도 동시에 존재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특히 후보자 선택 기준이 정책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젊은 층일수록 실질적 영향력에 대한 회의와 정보 획득 경로의 다양성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선거운동 전략과 정책 홍보, 특히 청년층을 겨냥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조정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사전투표제도와 선거 관련 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의 필요성도 재확인되었다. 중앙선관위와 정치권은 이러한 여론의 흐름을 반영해 신뢰 기반의 선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대선 풍향계, 5/15] 투표는 ‘당연한 일’인가: 제21대 대선을 앞둔 유권자 의식 실태
박혜신 기자
|
2025.05.16
|
조회 14
높은 참여 의향 속 이면의 냉소… 후보자 선택 기준은 ‘능력’과 ‘정책’
![[대선 풍향계, 5/15] 투표는 ‘당연한 일’인가: 제21대 대선을 앞둔 유권자 의식 실태](/media/news/images/2025/05/16/%EC%97%AC%EC%8B%AC%EC%9C%84.jpg)
출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박혜신 기자 | aipen.hyesin@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