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대구시, 2,672억 원 규모 추경 편성…민생경제 회복 집중 지원

육태훈 기자 | 2025.09.02 | 조회 6

소비쿠폰·지역사랑상품권 확대와 안전·복지 강화 중심의 제3회 추경예산안

대구광역시는 2025년 9월 2일 제319회 시의회 임시회에 2,672억 원 규모의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제출했다. 이번 추경은 정부 제2회 추경과 연계해 민생경제 회복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으며, 소비쿠폰 지급,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대구형 소비진작 특별 대책주간’ 운영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았다. 또한 신산업 육성, 재난 예방 인프라 확충, 복지 사각지대 해소, 교통 인프라 보강을 병행해 지역경제와 시민 생활 안정에 종합적으로 대응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대구광역시는 이번 추경 편성을 통해 총예산 규모를 12조 789억 원으로 확대했다. 일반회계는 9조 8,142억 원, 특별회계는 2조 2,647억 원으로 각각 증액되었다. 주요 세입재원은 국고보조금 2,199억 원, 기금 가용재원 404억 원, 특별교부세 60억 원, 교육비특별회계 전입금 9억 원으로 충당되며, 부족분은 세출 구조조정 111억 원으로 보완되었다. 이는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민생 안정에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시의 의지를 반영한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민생경제 회복으로, 총 2,512억 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는 9월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분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 2,323억 원을 편성했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매출 확대를 지원하며, 지역경제 전반의 소비 활성화를 도모한다. 아울러 ‘지역사랑상품권 2차분’ 발행에 153억 원을 배정, 1,180억 원 규모의 상품권을 할인율 상향(7%→13%)으로 공급해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한다. 또, ‘대구형 소비진작 특별 대책주간’에 21억 원을 편성하여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맞춤형 소비행사를 집중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스포츠시설 이용료 지원에 15억 원을 책정, 취약계층의 생활 여건 개선과 소비 진작을 병행한다.

신산업 육성을 위한 편성도 눈에 띈다. AX혁신 기술개발, 첨단 기능성 소재산업 등에 23억 원이 배정되었다. 특히 ‘제조업 AI 융합 기반 조성사업’에는 10억 원이 투입되어 대구를 대통령 공약사업인 ‘AI 로봇 수도’로 조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수성알파시티를 AX 연구개발 허브로 육성해 미래 산업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첨단 기능성 소재 기반 시기능 보조기기 산업육성 사업에는 3억 원이 지원되며, 전기차 구매 보조금 10억 원도 추가 편성되어 친환경 자동차 보급 확대를 도모한다.

재난 예방과 공공 안전 강화에도 104억 원이 반영되었다. 팔달빗물펌프장 등 4곳에 인명피해 방지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3억 원이 편성되었고, 빗물펌프장 신·증설 및 운영비 증액에 7억 원이 투입된다. 공공시설 안전성 확보 차원에서 대구실내빙상장 지붕 교체, 대구예술발전소 보수,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 설치 등에 특별교부세 20억 원이 집행된다. 복지 분야에서는 대통령 공약사업인 5세 무상보육비 지원에 9억 원, 저소득층 긴급복지 지원에 45억 원, 청년·중장년 돌봄 서비스 사업에 5억 원을 각각 반영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중점을 뒀다.

교통 인프라 확충에도 49억 원이 책정되었다. 다사~왜관 간 광역도로 건설 관련 절개지 안정화에 20억 원, 도시철도 2·3호선 열차무선설비 개량 사업에 29억 원이 투입되어 지역 내 산업단지 접근성과 도시철도 안전성이 동시에 강화될 전망이다.

이번 추경은 민생 지원과 더불어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안전·복지 강화라는 다층적 목표를 반영한다. 다만, 지방재정의 한계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불가피하다. 세입의 상당 부분이 국고보조금에 의존하는 구조 속에서, 대규모 소비 진작 정책의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단기적 부양책은 필요하지만, 재정 건전성 확보와 산업 구조 혁신을 병행하지 못한다면 중장기적 부담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소비쿠폰 및 상품권 확대가 실제로 지역 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실질적 소득 개선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서도 검증이 필요하다. 일부 전문가들은 할인율 확대가 단기적 매출 증대에는 기여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재정 투입 대비 효과성이 낮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반면 대구형 특별 대책주간과 같은 맞춤형 행사 운영은 지역 상권에 직접적 활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도 나온다. 결국 정책 효과의 핵심은 소비 진작의 일시적 파급력이 지역경제 구조적 회복으로 연결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이번 제3회 추경예산안은 대구광역시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김정기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민생경제 회복을 최우선으로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향후 의회 논의 과정에서는 재정 운용의 지속가능성, 복지·산업 지원 간 균형, 정책 효과의 검증 가능성 등이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추경이 단순한 재정 투입을 넘어 지역경제 체질 개선과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가 향후 입법 과정의 관건으로 꼽힌다.

육태훈 기자 | thhj0153@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