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I PEN

김길영 서울시의원 “지속가능한 미래, 소프트 시티가 해법이다”

서대원 기자 | 2025.10.27 | 조회 30

서울디자인어워드 2025 참석해 도시계획 패러다임 전환과 인간 중심 디자인 강조

출처: 서울특별시의회

출처: 서울특별시의회

2025년 10월 24일,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회 김길영 위원장(국민의힘, 강남6)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서울디자인어워드 2025’ 시상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하며, 스마트 시티를 넘어 ‘소프트 시티’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을 역설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디자인을 주제로 전 세계 디자이너와 도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국제 어워드다. 2019년 75개 출품작으로 시작된 본 어워드는 2025년 현재 74개국 941개 작품이 접수되며 6년 만에 12.5배 성장한 글로벌 규모의 행사로 자리잡았다.

이번 시상식에는 서울시의회 도시계획균형위원장 김길영 시의원을 비롯해 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프라디윰나 브야스 심사위원장 등 13명의 국제 심사위원, 12개국 수상자, 주한 외교사절, 디자이너 등 약 1,00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축사에서 “서울디자인어워드의 비약적인 성장은 단순한 문화행사를 넘어, 전 지구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공감과 실천 의지를 반영하는 상징”이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도시계획 전문가로서 지속가능한 도시 개념에 대해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는 “지속가능성은 기술, 경제, 사회, 환경을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며, 과거에는 인프라 중심의 스마트 시티가 강조되었다면 이제는 ‘사람 중심의 도시’, 즉 소프트 시티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도시의 경관이나 하드웨어만이 아닌, 시민의 삶의 질과 감성적 경험을 중심에 두는 설계 철학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발언은 최근 도시계획과 디자인 영역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삶의 질 중심 접근’과 맞닿아 있다. 디지털 기술 기반의 스마트 시티가 도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했다면, 그 이면에는 인간 소외와 공간의 획일화라는 부작용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김 위원장이 언급한 ‘소프트 시티’는 도시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감정, 관계, 커뮤니티를 도시계획의 핵심 요소로 받아들이는 개념으로, 시민 중심 도시정책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서울시는 2023년부터 ‘디자인 서울 2.0’ 프로젝트를 통해 인간 중심 도시디자인의 가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서울디자인재단도 공공디자인 개선, 시민 참여형 워크숍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기조를 실행에 옮기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축사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는 디자인의 힘을 현장에서 직접 느꼈다”며 “서울디자인어워드를 통해 서울의 디자인 행정이 한 단계 도약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은 단지 미래세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시민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출발점”이라고 언급하며, 도시계획 전반에서 지속가능성을 핵심 기준으로 삼는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이러한 언급은 단지 디자인계에 국한되지 않고, 서울시의 중장기 도시계획 및 정책 개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또한 이날 시상식에서 수상한 작품들은 환경 보호, 재활용, 지역사회 참여, 커뮤니티 기반의 디자인 등 실천적 지속가능성에 집중한 결과물이었다. 김 위원장은 “이러한 사례들이야말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도시계획의 미래”라며, “하드웨어가 아닌 사람을 중심에 두는 정책이 도시의 지속 가능성과 직결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디자인을 통한 글로벌 협력과 도시의 사회적 책임, 지속가능성의 실현 가능성을 가시적으로 보여준 자리였다. 김 위원장의 축사는 단지 시상식의 통상적 인사말을 넘어, 서울시의 도시계획 철학과 행정 방향을 투영한 정치적 메시지로도 해석될 수 있다.

서울시의회 김길영 도시계획균형위원장의 이번 발언은 디자인을 통한 도시의 미래상과 사람 중심의 계획 패러다임을 동시에 강조한 발언으로, 향후 서울시 도시정책 방향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디자인 어워드를 단순한 시상행사가 아닌 도시정책 플랫폼으로 활용하려는 의지를 드러냈으며, 이는 향후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수립, 공공디자인 조례 개정, 시민참여형 정책 발굴 등 다양한 제도적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나아가 서울의 사례는 다른 광역자치단체 또는 중앙정부의 지속가능성 관련 정책 설계에도 하나의 모델이 될 수 있다.

서대원 기자 | aipen.dwseo@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