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2025년 7월 1일 광주비엔날레 거시기홀에서 열린 시민 토론회를 통해 호남고속도로 확장사업을 추경에 반영하기로 결정했다. 강기정 시장은 온라인 생중계 등으로 시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결과, 다수의 찬성 여론을 반영해 추진 방침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동 사업은 교통 혼잡 완화와 지역 간 연결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나, 재정 부담과 환경 훼손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호남고속도로 확장사업은 동광주IC부터 광산IC까지 11.2km 구간을 기존 4차로에서 6~8차로로 넓히는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총사업비는 약 8000억원으로, 광주시와 한국도로공사가 각각 50%씩 분담하기로 협약돼 광주시의 부담액은 약 4000억원에 달한다. 이번 결정은 이처럼 막대한 예산 부담과 시민 편익 간의 균형을 두고 지역사회에서 첨예한 논쟁을 불러온 사안이다.
광주시는 그동안 호남고속도로 확장에 대해 지역 균형발전과 물류 효율성 제고를 이유로 추진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일부 시민단체와 전문가들은 광주시 재정건전성 악화, 녹지 훼손, 난개발 가능성 등을 들어 우려를 표명해왔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여론을 종합적으로 수렴하고자 시의원, 전문가, 지역상공인 등 300여 명이 참여한 공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광주시 공식 유튜브 채널 ‘헬로광주’를 통해 생중계되며 시민 접근성과 투명성을 높였다.
토론회에서 찬성 측은 “장기간의 숙원사업으로, 교통 체증 해소와 지역 경제활성화 효과가 크다”며 확장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물류 효율성 향상과 함께 광주-전북 간 연결성 강화를 통한 광역권 통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됐다. 이에 반해 반대 측은 광주시의 연간 지방채 발행 규모가 1000억원에 달할 수 있다는 점, 공사 과정 중 시민불편과 완충녹지 훼손 우려, 공원사업?도시철도 2호선 등 타 현안사업과의 예산 충돌을 이유로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한 시민은 “현재도 도심 개발로 많은 채무가 발생한 상황에서, 재정 여력이 충분치 않다”고 지적했다.
강기정 시장은 모든 발언을 청취한 뒤 “재정 부담에 대한 우려는 타당하나, 시민 다수가 교통 정체 해소를 원한다”며 사업 추진 의지를 밝혔다. 특히 “공사에 따른 장기적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시급한 교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시민 의견이 다수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도 병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국회와 협조해 정부 추경안 내 해당 예산(367억원)이 삭감되지 않도록 조율하고, 광주시 자체 추경에도 400억원을 반영할 계획이다.
호남고속도로 확장사업은 광주 도심과 인접 지역 간 교통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인프라 사업이다. 광주시는 이번 결정을 계기로 시민 합의를 기반으로 한 숙의 민주주의 실현과 교통 인프라 확충이라는 두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려 하고 있다. 향후 광주시의 추경 편성과 국회 예산심의 과정이 병행되며, 국비 확보 성과 여부가 사업 착공 시점과 규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동시에 공사 착공 이후 최소 5년 이상의 불편이 예상되는 만큼, 시민 의견 수렴 및 소통 전략의 지속 여부도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 호남고속도로 확장 추경 반영 결정
육태훈 기자
|
2025.07.02
|
조회 9
시민 의견 토대로 추진키로…재정 부담 최소화 방안 병행 마련

출처: 광주광역시청
육태훈 기자 | thhj0153@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