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는 이재명 정부의 골목상권 활성화 정책에 호응하여 전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소비촉진운동’을 7월 4일부터 본격 시행했다. 자치행정국 소속 5개 부서 100여 명이 서구 쌍학로상인회, 5·18먹자골목 등 골목형 상점가를 직접 방문하여 식사를 하고 상인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했으며, 이후 매월 2회 이상 장보기·식당 이용을 정례화할 방침이다. 구내식당 중식 휴무 확대와 정례조회 간식 구매 등도 병행되고 있다.
2025년 하반기 이재명 정부의 대표 정책 중 하나로 추진 중인 '골목경제 회복 패키지'는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중심으로 한 소상공인 생태계 복원을 목표로 한다. 해당 정책은 민간소비 촉진, 공공조달 체계 개선, 지방정부의 직접 참여 확대 등 다층적 정책 구성으로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책임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상황에서, 광주광역시는 이를 선도적으로 수용해 자발적 참여 모델을 가동한 것이다.
광주시는 자치행정국을 시작으로 ‘전통시장·골목형 상점가 매칭데이’를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공무원이 지역 골목상권을 방문해 직접 식사하고 장을 보며 상인과 소통함으로써 소비 위축으로 고전하는 소상공인에게 실질적 매출 증대를 제공하는 취지다. 7월 4일 첫 시행에는 자치행정국 소속 공무원 100여 명이 참여해, 점심시간을 활용해 상점가 식당을 이용하고 상인들로부터 경영상 애로를 듣는 시간을 가졌다.
해당 프로그램은 단순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매월 2회 이상 정례적 실행으로 확장된다. 특히 광주시는 정부의 비상경제점검TF와 연계해 ‘골목경제상황실’을 자체적으로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관내 235개 상점가를 상대로 지역 공공기관과 일대일 매칭을 진행 중이다. 이 같은 공공-민간 직결 매칭 모델은 상권 단위 회복의 미시적 접근을 가능케 하며, 매크로 단위 예산지원 중심 정책이 가진 한계를 보완하는 실천적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광주시의 골목상권 연계 소비촉진운동은 중앙정부 주도의 소비 진작 정책에 지방정부가 능동적으로 결합한 대표적 사례로, 단순한 정책 수용을 넘어 주체적 실천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이 모델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관련 지침과 평가체계의 정비가 요구되며, 특히 공공기관의 내재적 구매력을 활용한 소비모델에 대한 제도적 인정이 필요하다. 또한 광주시의 실천경험은 국회와 정부가 논의 중인 ‘지역상권활성화기본법’과 ‘공공기관 지역상권 기여 촉진법’ 제정 논의에 있어 참고 사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경제의 회복은 결국 생활공간 안에서의 실천으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에서, 광주시의 사례는 하나의 제도모델로서 의미 있는 선례를 남기고 있다.
광주시, 이재명 정부 골목경제 회복정책에 ‘발 빠른 호응’…전 직원 소비촉진운동 동참
육태훈 기자
|
2025.07.05
|
조회 4
공공기관-상점가 매칭·구내식당 휴무 확대…지역상권 직접 방문 통한 실질 소비 유도

출처: 광주광역시청
육태훈 기자 | thhj0153@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