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2025년 상반기 중 147억 원을 투입해 자동차전용도로와 일반도로를 포함한 19개 노선, 총 31.8km 구간에 대해 포트홀 전면 복구를 완료할 계획이다. 재포장 공사는 4월 말까지 집중 시행되며, 6월 말까지 마무리된다. 기후변화로 인한 도로파임 증가에 대응한 조치로, 시민 안전 확보가 핵심 배경이다.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는 최근 겨울철 반복되는 도로파임 현상에 대응하고자 2025년 상반기 중 포트홀 복구사업을 완료한다고 밝혔다. 총 사업비는 147억 원이며, 자동차전용도로 4개 노선과 일반도로 15개 노선 등 총 19개 주요도로 31.8km(차로 환산 약 127km)가 재포장 대상지로 선정됐다.
포트홀은 노면이 움푹 패이면서 발생하는 일종의 도로파손 현상으로, 겨울철 기온 변화 및 강설 등에 따라 빈발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3년간 포트홀 발생 건수가 급증한 데 주목했다. 2022년 1만429건이었던 포트홀 발생 건수는 2023년 2만3448건, 2024년 3만3822건으로 증가했으며, 2025년에도 3월 21일 기준 1만3767건이 발생했다.
광주시는 이를 토대로 각 노선별 포트홀 발생 데이터와 파손 유형을 분류해 전면보수 대상지를 결정했고, 88억 원 규모의 예산을 우선 투입해 4월 말까지 집중 공사를 진행한 후, 6월 말까지 모든 재포장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면보수가 어려운 소규모 포트홀 다발구간에는 응급보수 기동반을 24시간 가동해 대응하고 있다. 실제로 올해 구성된 9개조 27명의 응급보수 인력이 주야간 구분 없이 운영되며 약 1만3767건의 포트홀을 이미 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제 대응 덕분에 전년 동기 대비 도로파임 건수는 2% 감소했고, 도로파임으로 인한 사고 건수도 67%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포트홀 급증에 따른 예산 증가도 눈에 띈다. 도로유지관리 예산은 2022년 78억 원, 2023년 106억 원, 2024년 94억 원에서 올해 147억 원까지 확대됐다. 광주시는 재포장 시 지반 안정 처리와 개질 아스팔트 활용 등 기술적 대안을 도입하고 있으며, 해당 공사는 하남진곡산단로, 상무대로, 무진대로 등 주요 도로를 포함한다.
광주시는 포트홀 전면 복구 사업을 통해 시민 안전과 도로 이용 편의성 확보에 적극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2025년 상반기 내 마무리를 목표로 하는 이번 사업이 완료되면, 장기적으로 도로 유지관리 비용의 절감과 함께 기후변화에 따른 도로파손 대응 역량도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정비 이력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기반 관리체계 구축이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광주시, 상반기 내 포트홀 복구 완료…147억 투입 전면 재포장
박혜신 기자
|
2025.03.25
|
조회 25
자동차전용도로 포함 19개 노선 31.8km 보수…포트홀 사고 67% 감소
박혜신 기자 | aipen.hyesin@gmail.com